인간은 본디 자연인 입니다

자연 만물에는 낮과 밤이 있으며 그 로 인해 인간의 눈은 낮에는 충분한 햇빛(자연광)을 쬐며 먼 곳을 보고 눈부심이 심하면 홍체가 긴장을 하고 수축하게 되고, 밤에는 적절한 어둠과 함께 충분한 휴식으로 홍체 스스로 열어 낮에 긴장했던 부분을 이완시켜 왔던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인은 밝은 조명과 TV,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들로 인해 잠에 들기 전 까지는 낮과 (홍체의 긴장)같은 자극을 계속적으로 받게되어 피로도도 높아지고 원활한 움직임을 갖지 못하여 눈의 기능이 약화 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눈의 자연성을 살려주는 것이 필요 합니다 (눈주위 마사지, 안구운동, 홍체의 긴장과 이완, 원근운동등)

밝게 보고 가깝게 보고 작은 것을 보는 생활의 연속으로 눈이 혹사당하는 현대 생활에서 눈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

눈은 다수의 근육들이 연동작용에 의해서 움직이며 빛, 거리, 초점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눈운동은 단순안구운동 외에도 원근교대응시운동, 명순응 암순응 교차운동, 초점운동, 망막자극훈련 등 다양한 운동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 져야만 합니다.
생활의 질을 높이고 눈을 관리하기 위해 안경은 꼭 필요할 때에만 착용하도록 하며 적절한 휴식과 함께 올바른 눈운동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눈운동과 관리를 꾸준하게 하면 누구든 좋아질 수 있습니다.


눈은 시각기라고도하며 안구나 시신경 또는 부속기로 구성되어 있고 부속기로써는 눈꺼플 누기, 결막, 안근 등이 있다. 안구는 직경 24mm정도의 구 형태이고 바깥부분은 각막과 강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막

각막은 직경 11mm정도의 투명한막이고 두께는 가운데부분이 0.8mm둘레로써 1mm정도이다. 주로 안구모양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과 광선을 굴절시켜 눈속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홍체(동공)

홍체는 강한 광선과 만나면 동공을 찌푸리게하여 눈속으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제안하고 바깥부분이 어두우면 동공을 크게 벌려 눈속에 빛을 가득 받아들인다. 또한 먼곳을 볼 때에는 동공이 열리고, 가까운 곳을 볼 때에는 오그라든다. 쉽게 말하자면 사진기의 조리개와 같은 작용을 하면서 모양체근과도 연결되어 있기에  연동작용에 의해서 움직이므로 홍체의 수축이완은 모양체근의 조절기능에도 영향을 주게되는 것이다.

모양체근(수정체조절근)

수정체조절근이라고도 불리는 모양체근은 모양근결합조직 또는, 혈관망과 색소로 구성되어 있다. 먼곳이나 가까운 곳을 확실하게 볼 수 있는 눈의 조절작용은 모양근의 수축이나 이완되며 수정체를 잡아당기고 풀어주는 역할을 하여 수정체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수정체의 영양보급의 역할을 하고 있다.

수정체

수정체는 직경 9mm로써 볼록렌즈모양이다. 주된 역할은 각막과 함께 광선을 굴절시켜 눈속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조절작용에 의해서 원근등 각종 거리에 있는 물체를 밝게 보이게 하는 것인데 수정체 또한 단독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주변의 다른 안구근육들의 영향을 받는다.

초자체

초자체는 무색투명하며 계란의 흰자보다 약간 단단한 유동체이다. 근시가 심하게 되면 초자체가 희미해지고 시력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경우도 있다.

망막

망막은 두께 0.5mm정도의 엷고 투명한 막으로써 10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는 빛을 느끼는 시세포층도 포함되어 있다. 시세포는 추상체와 간상체로 나눌 수 있는데 추상체는 밝은 장소에서 활동하고 색을 감응할 수 있으며 간상체는 어두운 곳에서 활동하며 약한 빛을 감응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명순응과 암순응에 대하여
  • 암순응…
    밝은 장소에서 어두운 장소로 들어갈 때 처음에는 광각이 불량하여 약한빛을 발하는 물체는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간상체가 차츰 기능을 발휘라여 1시간 후에는 광각이 더욱 나빠진다. 그러한 경우 동공의 크기는 켜져서 조금이라도 빛이 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 명순응…
    재차 밝은 곳으로 나갔을 경우 암순응에 필요한 시간은 매우 짧아서 40초에서 1분정도의 짧은 시간으로 순응한다. 밝은 장소에서는 추상체가 간상체로 바뀌어 활동하지만 그와 동시에 빛이 들어가지않도록 동공의 크기는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을 축동이라 한다.

황반

황반은 망막의 중심붕에 있으며 그중에서 가장 중심이되는 것을 중심와라고 한다. 이 중심와에는 추상체가 많고 잘 보이는 곳으로써 색의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우리가 사물을 보고 그것이「보인다」라고 했을 때 생기는 감각을 시각이라고하는데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서 전달된다.

  • 눈에 들어오는 광선은 최초의 각막에 의해서 굴절된다.
  • 다음의 굴절광선은 홍체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동공을 통하는데, 불필요 한 빛을 차단한다.
  • 다음의 이 광선은 그 안의 수정체에 의해서 굴절된다. 수정체의 시로역할은 상당히 중요한고 각막에 의해 굴절된 광선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줄뿐 만아니라 보고자하는 물체의 거리에 응해서 생기는 굴절부 족을 적당한 만곡증가와 전진에 의해서 바로 잡아준다. 이것을 조절이라 한다.
  • 수정체를 통과한 굴절광선은 초자체의 안을 지나서 망막에 도달한다. 이 곳에 도달한 굴절광선은 물구나무서기의 모양을 한다.
  • 망막상에 이어진 모양의 각부분은 1억2천만개나 있는 시세포의 상당부 분을 자극한다.
  • 시세포는 빛을 받아서 세포안에 있는 감광물질이 활동하여 그 자 극이 시신경에 전달된다. 시세포는 어딘가에서 빛의 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힘을 지닌 듯이 빛이 시세포를 자극했을 경우 매우 약한 이차적전위치가 분명하게 발생함.
  • 시신경에 전달된 자극은 시속교차라고 하는 부분에서 좌우 눈 의시각이 반분교차한다.
  • 시색을 거쳐 제1차시중추에 도달, 시방선을 통하여 대뇌후 두엽피질 의 제2차시중추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우리가 항상 느끼고 있는 시각의 기초를 얻을 수 있다. 이 기구는 긴 행정 같지만 거의 한순 간에 작동한다. 이와 같은 시각이 전달되는 경로를 시각전달로 라고 한다.

인간의 눈은 마치 사진기와 같다고 말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보면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초점맞춤의 작용은 모양체근과 수정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홍체와 연동작용에 의해서 움직이게 되는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먼곳의 촛점에 맺어진 안경을 낀 채로, 사물을 보게되면 먼곳의 촛점은 맞으나 가까운 곳의 촛점은 맞지 않는다.
2. 때문에 가까운 곳의 촛점을 맞추다보면 더욱 두꺼워지게 마련이고 근시도는 더욱 진행된다.
3. 이 상태가 조금만 더 지속되도 이미 같은 렌즈로서는 먼곳의 촛점은 맞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약시나 난시 또는 강도의 근시를 제외한 후천성근시에는 독서나 근업을 할때에는 안경을 벗는 습관을 몸에 익혀 렌즈를 계속 갈아끼우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특히 성인을 제외한 성장기에 있는 초,중,고 학생들은 위와 같은 이치를 충분히 판단하여 렌즈를 바꿔낄 때에는 안경도수가 약해진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시력이 더욱 나빠졌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